안녕하세요. 영어뉴스를 쉽게 정리하는 이슈번들의 유학남입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과감한 무역정책과 관세정책으로 이슈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월스트리트의 거장 JP모건의 CEO 제이미 다이먼의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합니다.
Wall Street’s rule of thumb for President Donald Trump had been that he would curb his aggressive trade policies if markets tanked or the economy began to falter. No more.
월스트리트의 통념은 트럼프 대통령이 만약 시장이 폭락하거나 경제가 흔들리면 공격적인 무역 정책을 자제할 거라는 거였어.
하지만 이제는 그게 더 이상 통하지 않아.
Rule of thumb = 통념, 전통적인 원칙
Markets tanked = 시장이 폭락하다
Falter = 흔들리다
With U.S. financial markets poised for another potential selloff and Trump remaining defiant about his sweeping tariffs, JPMorgan Chase CEO Jamie Dimon on Monday cautioned investors that the trade wars could threaten economic alliances that have made the U.S. the world’s most powerful country.
미국 금융시장이 또 한 번 큰 하락에 직면할 수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는 여전히 대규모 관세(무역전쟁)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이런 상황에서 JPMorgan Chase의 CEO 제이미 다이먼은 월요일, 무역전쟁이 미국을 세계 최강국으로 만든 경제 동맹들을 위협할 수 있다고 투자자들에게 경고했어.
Selloff = 큰 하락
Remaining defiant = 강경한 태도(압박에도 버티다)
Sweeping tariffs = 대규모 관세
Economic alliances = 경제 동맹
Cautioned = 경고했다
Goldman Sachs Chief Economist Jan Hatzius bumped up the odds of a U.S. recession to 45 percent.
And even Bill Ackman — the hedge fund billionaire and one of Trump’s biggest Wall Street cheerleaders — warned that the president’s ability to navigate the trade battle will be weakened if markets continue to crater.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얀 하치우스는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을 45%로 상향 조정했어.
그리고 트럼프의 열혈 지지자 중 한 명인 헤지펀드 억만장자 빌 애크먼조차도,
만약 시장이 계속 폭락한다면 트럼프가 무역전쟁을 잘 헤쳐나갈 수 있는 능력이 약화될 거라고 경고했어.
Bumped up the odds = 상향조정했다
Recession = 경기침체
Nevigate = 헤쳐 나가다
Trade battle = 무역전쟁
Weakened = 약화되다
Crater = 폭락하다
“It does not help our country’s and our president’s negotiating position to be trying to strike deals while our market is collapsing,” Ackman posted on X on Sunday night as futures markets cratered.
“Whoever is recommending that idea to President @realDonaldTrump should be fired right now.”
"우리나라(미국)와 (미국)대통령이 협상을 하려는 상황에서 시장이 붕괴되는 건 협상력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애크먼이 일요일 밤 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렸어. 당시 선물시장은 폭락 중이었고,
그는 이어서 "그런 아이디어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조언한 사람이 있다면 당장 해고돼야 한다"고 했어.
Negotiating position = 협상력
Collapsing = 폭락
Futures markets = 선물시장
The stock market crash that erased trillions of dollars from Wall Street balance sheets, retirement accounts and public pensions last week looks likely to continue this morning as investors reckon with a White House that’s hell-bent on upending the global economy in the name of fairness. Asia stocks tumbled overnight.
지난주에 주식 시장이 폭락하면서 월가의 자산(재무제표), 은퇴연금, 공적연금에서 수조 달러가 증발했는데, 그 하락세가 오늘 아침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커 보여. 왜냐하면 투자자들이 '공정성'이라는 이름 아래 글로벌 경제를 뒤흔들려는 백악관의 태도를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야. 아시아 증시는 밤새 폭락했어.
Stock market crash = 주식시장이 폭락하다
Erased = 증발하다
Reckon with = 직면하다
Hell bent on = ~에 몰두한
upending = 뒤흔들다
In the name of = ~라는 이름 아래
tumbled overnight = 밤사이 폭락했다.
The S&P 500, which had surged following Trump’s election, is expected to open down more than 20 percent from the record high it notched just six weeks ago. The tech-focused Nasdaq and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are also in danger of massive losses, and — unlike in normal market slides — investors are also dumping typical safe assets like the U.S. dollar and gold.
트럼프 당선 이후 급등했던 S&P 500 지수는, 불과 6주 전 기록했던 최고점보다 20% 넘게 하락한 상태로 오늘 개장할 것으로 예상돼. 기술 중심의 나스닥(Nasdaq)과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도 큰 손실을 입을 위기에 있고, 일반적인 시장 하락과 달리 이번엔 투자자들이 미국 달러나 금 같은 '안전자산'조차도 팔아치우고 있어.
Surged = 급등하다
Trump's election = 트럼프 당선
Notched = 기록했다
In danger = 위기에 있다
Dumping = 자산을 매각하다
Safe assets = 안전자산
“I’ve been around a number of times when events led everybody to focus on how circuit breakers work,”
former Treasury Secretary Larry Summers said in an interview,
referring to procedures that halt the trading of stocks when losses become too severe.
“Never has the event in question been the action of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나는 여러 차례, 어떤 사건들 때문에 모두가 서킷브레이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집중하게 된 경우를 겪어봤습니다,"
라고 전 재무장관 래리 서머스가 인터뷰에서 말하며,
이는 손실이 너무 심각해졌을 때 주식 거래를 중단시키는 절차들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 사건이 미국 대통령의 행동이었던 적은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Led to = 주도하에
Circuit breakers = 서킷브레이커
Former Treasury Secretary = 전 재무장관
Procedures = 절차
Halt = 중단, 정지시키다
When losses become too severe = 손실이 너무 심각해졌을 때
the event in question = 문제의 사건
As stock market futures sank on Sunday night, Trump told reporters on Air Force One that he doesn’t
“want anything to go down, but sometimes you have to take medicine to fix something.”
일요일 밤 주식 선물시장이 하락하자,
트럼프는 에어포스원(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어:
"나는 아무것도 떨어지길 원하지는 않지만, 가끔은 무언가를 고치기 위해 약을 먹어야 할 때도 있다."
Medicine to fix something = 고통 없이는 개선 없음
“What’s going to happen to the markets, I can’t tell you. But our country is much stronger,” he added.
Trump says U.S. trading partners, many of whom run surpluses, are treating American companies unfairly through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He also wants to pressure more companies to make their products in the U.S.
"시장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말할 수 없어. 하지만 우리나라는 훨씬 더 강해졌어." 그는 이렇게 덧붙였어.
트럼프는 말하길, 미국의 교역 상대국들(그 중 다수가 무역흑자를 보고 있는 나라들)이,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통해 미국 기업들을 불공정하게 대우하고 있다고 주장해.
또한 그는 더 많은 기업들이 미국 내에서 제품을 생산하도록 압박하고 싶어 해.
Trading partners = 교역 상대국들
Run surpluses = 무역흑자를 기록하다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 관세와 비관세 장벽
Trump’s tariff war has been a brutal wake-up call for Wall Street traders who had assumed the president would defer to market forces on policy matters. He never hid his plans to impose universal tariffs on major trading partners, but most investors had discounted the likelihood of a full-blown trade war, focusing instead on whatever economic stimulus could come from deregulation, lower energy costs and tax cuts.
트럼프의 관세 전쟁은, 대통령이 정책을 시장 논리에 맡길거라고 당연하게 생각했던 월스트리트 트레이더들에게 잔인할 정도의 현실 자각의 계기가 되었다. 그는 주요 교역국들에 전방위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숨긴 적이 없었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진짜 무역전쟁이 벌어질 가능성은 낮게 봤고, 대신 규제 완화, 에너지 비용 절감, 감세에서 나올 경기부양 효과에만 집중하고 있었던 거야.
Brutal wake-up call = 잔인할 정도의 현실 자각
Defer to market forces = 시장 논리에 맡기다, 결정에 따르다
Hid = 숨기다
Impose universal tariffs = 전방위적인 관세
discounted the likelihood = 가능성을 낮게 보다
Full-blown trade war = 전면적인 무역전쟁
Economic stimulus = 경기부양책
Deregulation = 규제완화 Tax cut = 감세
Instead, they’re now grappling with a tariff regime that puts not only their bottom lines at risk but the world economic order.
대신, 그들은 이제 자신들의 수익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 질서마저 위협하는 관세 체제에 직면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Grappling with = 고군분투하다
Tariff regime = 관세 체제
Puts at risk = ~을 위험에 빠뜨리다
Bottom lines = 기업의 순이익(최종 수익)
Dimon on Monday told investors that his most serious concern about Trump’s tariffs
“is how this will affect America’s long-term economic alliances.” The administration’s protectionist trade agenda could result in retaliation and weaken confidence in the U.S. economy, its markets and the dollar, he said in his letter to shareholders.
다이먼(JPMorgan CEO)은 월요일,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가장 심각하게 우려하는 점은
‘이것이 미국의 장기적인 경제 동맹들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라고 투자자들에게 말했다.
그는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행정부의 보호무역 중심 무역정책이 보복을 유발하고
미국 경제, 금융시장, 달러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Long term economic alliances = 장기적인 경제 동맹들
Administration = 행정부
Protectionist trade agenda = 보호무역 중심 무역정책
Retaliation = 보복조치
Weaken confidence = 낮은 신뢰(신뢰를 약화시키다)
Shareholders = 주주
“The quicker this issue is resolved, the better because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increase cumulatively over time and would be hard to reverse,” Dimon added. “I am hoping that after negotiations, the long-term effect will have some positive benefits for the United States.”
“이 문제가 더 빨리 해결될수록 좋습니다. 왜냐하면 일부 부정적인 영향은 시간이 지나면서
누적되기 때문에 나중에는 되돌리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이먼은 이렇게 덧붙였어.
“나는 협상 후에, 장기적으로는 미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The quicker ~ the better = ~ 빠를수록 좋다
Cumulatively = 누적되어
Hard to reverse = 되돌리기 힘들다
Stanley Druckenmiller, the former hedge fund executive and colleague of Treasury Secretary Scott Bessent,
on Sunday said he opposed any tariffs exceeding 10 percent.
And Clifford Asness, a longtime GOP donor and the chief of AQR Capital Management,
decried the policies’ Republican defenders as
“feckless toadies willing to say the most ignorant things to please their dear leader.”
스탠리 드러켄밀러 (전 헤지펀드 경영자이자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의 동료)는
일요일, 10%를 초과하는 모든 관세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클리퍼드 애스니스 (보수당 공화당의 오랜 후원자이자 AQR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대표)는,
이런 정책을 옹호하는 공화당 인사들을 향해
“자기 지도자를 기쁘게 하려고 가장 무식한 말도 서슴없이 하는, 무기력한 아첨꾼”이라고 맹비난했다.
Opposed = 반대하다
Exceeding = 초과하는
GOP(Grand old party) = 공화당의 별칭
Donor = 후원자 Decried = 강하게 비난하다
Degenders = 옹호자
Feckless Toadies = 무기력한 아첨꾼
Willing to = 서슴없이, 기꺼이
Ignorant things = 무식한 말
Please = 기쁘게
Dear leader = (풍자적 표현) 트럼프를 비꼬는 말, 독재자식 표현
It’s unclear how quickly negotiations with foreign governments can yield results that might alter Wall Street’s outlook. While administration officials said that as many as 50 countries have reached out to seek new trade deals before tariffs take effect April 9, Bessent and Commerce Secretary Howard Lutnick suggested in separate television appearances that those negotiations could take time.
외국 정부들과의 협상이 얼마나 빨리 진행돼서 월스트리트의 전망을 바꿀 만한 결과를 낼 수 있을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행정부 관계자들은 최대 50개국이 4월 9일 관세 발효 전에 새로운 무역협정을 맺기 위해 접촉해왔다고 말했지만,
스콧 베센트와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은 각각의 TV 출연에서 이런 협상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시사했다.
Yield result = 결과를 내다
might alter ~ outlook = ~의 전망을 바꿀수 있다
Reached out = 연락했다, 접촉했다
Seek new trade deals = 새로운 무역협정을 맺기
Before tariffs take effect = 관세 발효 전
“It’s not the kind of thing you can negotiate away in days or weeks,” Bessent said on NBC’s “Meet the Press.”
“이건 며칠이나 몇 주 만에 협상해서 끝낼 수 있는 종류의 일이 아닙니다.”
라고 베센트가 NBC의 ‘Meet the Press’ 프로그램에서 말했습니다.
Negotiate away = 협상해서 해결하다
The longer it takes,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a recession. I
n an investor note, Hatzius noted that the “sharp” tightening of financial conditions — along with foreign boycotts of U.S. goods and retaliation from other governments — could add to the effects of the trade war.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 얀 하치우스는 투자자 노트에서,
“급격한” 금융 여건의 긴축과 외국의 미국 제품 보이콧, 그리고 다른 나라들의 보복 조치가
무역전쟁의 악영향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Likelihood of = 발생할 가능성 Tightening = 긴축 Boycotts = 불매운동
“If the White House does implement most or all of the April 9 tariffs,
the effective tariff rate” will climb by about 20 percentage points, Hatzius wrote.
Goldman — along with most banks — has warned that higher tariff rates will result in lower growth and higher inflation.
“만약 백악관이 4월 9일에 예정된 대부분 혹은 전부의 관세안를 실제로 시행한다면,
실질적인 관세율은 약 20%포인트 상승하게 될 것이다,” 라고 얀 하치우스는 썼다.
골드만삭스는 (대부분의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관세율이 더 높아지면 경제 성장률은 낮아지고, 인플레이션은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Implement = 시행하다
Most or all of the ~ = ~ 대부분 혹은 모든 것
effective tariff rate = 실질적인 관세율
Climb by = 상승하다
Lower growth = 낮은 경제성장률
Higher inflation = 높은 인플레이션
Pull the trigger = (직역하면) 방아쇠를 당기다, (의역) 실행으로 옮기다
Baseline = 기본 전망, 모델, 시나리오
Forecast a US recession =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것
If Trump pulls the trigger April 9, “we expect to change our baseline to forecast a US recession,” Hatzius wrote.
만약 트럼프가 4월 9일 실행으로 옮긴다면, "우리는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것으로 기본 전망을 바꿀것이다." 라고 얀 하치우스는 썼다.
오늘은 최근 트럼프의 행방과 향후 주식시장과 관련이 있을 관세에 대한 월가의 의견을 들어보았습니다.
단어장 다운로드가 필요하시면 해당 게시물에 댓글로 단어장을 말해주세요!